커뮤니티

케어기버 프로그램(HCCP, HSW) 경력 조건 완화

작성자
SK
작성일자
2023-02-15
조회수
642

 케어기버 프로그램(HCCP, HSW) 경력 조건 완화

수많은 캐나다의 이민 프로그램들 중에서 캐나다 정부와 이민국으로부터 특별 대우를 받고 있는 프로그램이 바로 케어기버 프로그램입니다. 케어기버 프로그램은 수십 년 동안 해외에서 보모와 간병인들을 유치하여 노인과 자녀, 그리고 환자 돌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캐나다의 가정을 지원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캐나다는 언제나  케어기버가 절실히 필요했고, 그로 인해 케어기버만을 위한 독립 이민 프로그램을 운영, 영주권에 대한 특별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캐나다 정부가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속 시간을 단축하고, 많은 이민 프로그램의 자격 조건을 완화하며 영주권의 문턱을 낮추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23 2 10일에는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자격 조건을 대폭 낮추겠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이번 주는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내용과 변경 사항,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 분석해 볼까 합니다.

케어기버 프로그램은 Home Child Care Provider(HCCP) Home Support Worker(HSW)로 나누어져 있으며,  2019년에 시작되어, 2024 6월까지 시행될 예정인 임시 프로그램입니다.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자격조건들은 아래와 같으며,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자격 조건을 갖추고 캐나다에서의 케어기버 경력 기간에 상관없이 영주권을 신청하면 요구되는 캐나다 경력이 갖추어지는 시점에 영주권 수속이 마무리됩니다. 이번 발표로 이전까지 2년으로 요구되었던 캐나다 경력 조건이 1년으로 절반이 감소되어 영주권에 한층 수월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케어기버 프로그램 자격조건

     영어 CLB 5

     1년 이상 전문 과정 수료

     건강, 범죄 등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함

     경력 조건: 캐나다에서 지정된 NOC 코드에 해당하는 케어기버 업무 경험

     NOC 코드 44100 (2021년 버전) - Home child care providers

     Babysitter

     Child care live-in caregiver

     Child care provider - private home

     Nanny

     Parent's helper

     NOC 코드 44101 (2021년 버전) - Home support workers, caregivers and related occupations

     Attenda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home care

     Family caregiver

     Home support worker

     Live-in caregiver - seniors

     Personal aide - home support

     Personal care attendant - home care

     Respite worker - home support

이번 변경 사항은 2023 4 30일부터 적용되며 이미 신청한 간병인에게 소급 적용됩니다.

수속 방법

1.      캐나다에서 학생 비자나 취업 비자로 거주하고 있는 경우

케어기버 프로그램 신청 자격을 만족한다면 캐나다 케어기버 1년 경력을 채우기 전이나, 1년 경력을 채운 후 중 언제라도 영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영주권 심사의 마무리는 경력이 채워진 후라야 가능합니다. 캐나다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오픈 워크퍼밋 혹은 LMIA를 통한 TFW(Temporary Foreign Worker) 취업비자 모두 가능합니다. 따라서 케어기버 프로그램 신청 자격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도 취업비자를 통해 먼저 캐나다에서 케어기버 경력을 쌓으면서 영주권 신청 자격을 만족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2.      캐나다에서 방문자 신분이거나 해외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

해외 거주자인 경우는 반드시 케어기버 영주권 프로그램과 취업 비자를 동시에 신청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학력, 영어 성적 등 케어기버 프로그램 신청 자격을 만족해야 하고, 영주권 프로그램과 취업비자를 동시에 신청하면 취업비자를 먼저 받게 됩니다. 취업 비자로 입국해서 캐나다에서 일을 시작하고, 이후 캐나다 케어기버 경력 1년 경력이 채워지면 영주권 수속이 마무리됩니다.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장점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특별한 점은 프로그램 지원 시 고용주의 잡오퍼가 요구되나, 고용주의 스폰은 필요 없고 고용주 변경도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취업비자 시 포지션은 케어기버로 한정되지만, 고용주는 오픈인 취업 비자를 받을 수 있어 1년 경력을 쌓는 도중에도 고용주 변경이 자유롭습니다. , 신청자의 경력은 위 두 카테고리 직업 중 하나로 통일되어야 하며 두 직업을 혼합할 수 없으며, 신청자의 직무가 NOC 직무 내용과 일치하고, 매주 최소 30시간의 유급 근로인 경우에 인정됩니다. ​

1년 경력을 쌓은 후에는 고용이 유지될 필요가 없으며, 전혀 다른 일을 하거나 일을 그만두더라도, 심지어 본국으로 돌아가더라도 영주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타 영주권 프로그램에 비해 획기적인 조건으로 보입니다. , 영어 성적 CLB 5점에 1년 이상 전문 과정의 학력이 있는 경우 캐나다에서 합법적인 어떤 비자로도 케어기버 경력 1년만 쌓으면 이후 어디에 있던 어떤 일을 하던 영주권 수속에 문제가 없습니다. 또 이 프로그램은 연방 프로그램이므로 지역에 상관이 없고 고용주를 찾기가 어렵지 않으므로, 졸업자 비자나 오픈 비자가 있으나 영주권 신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온타리오주나 BC 주 거주자들에게 더욱 큰 장점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입니다.

케어기버 전망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에는 85세 이상인 인구가 861,395명입니다. 75세에서 85세 사이에는 2,100,000명으로, 이들 중 다수는 시니어 레지던스(노인 주택)와 요양 시설에 살고 있습니다. 2016년 데이터에 따르면 장기 요양 시설에는 500,000명의 거주자가 있으며, 2030년까지 약 9,000,000명의 캐나다인이 65세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캐나다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초고령화 사회는 인구의 20%,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것을 의미합니다. 늘어나는 노령 인구의 필요성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간병인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캐나다 가정의 대다수가 편부모 또는 맞벌이 가정인 점도 케어기버 수요가 높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이번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경력 조건 완화로 인해 케어기버 프로그램 지원자와 그 가족이 이전보다 쉽게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 표  허 인 령 

· 캐나다 공인 이민 컨설턴트
· 알버타 주정부 지정 공증 법무사
· 해외 리크루팅 라이선스 보유

카카오톡 상담: SKimmigration (ID로 친구 추가

 

이민칼럼은 매주 목요일, SK 홈페이지 및 각종 SNS, 커뮤니티 등에 배포됩니다.

더 많은 이민칼럼을 보시려면 https://skimmigration.com/community/column.php

Website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Blog

 

Calgary
Suite 803, 5920 Macleod Trail SW Calgary, AB, T2H 0K2
Office: 1-403-450-2228-9, 1-403-249-0200 (Direct), 010-4508-9997 (Kor.)
Fax: 1-866-661-8889, 1-866-424-2224 / Kakao ID: SKimmigration

Edmonton
Suite 610, 10117 Jasper Ave Edmonton, AB, T5J 1W8
Office: 1-780-434-8500 / Fax: 1-866-661-8889, 1-866-424-2224

 

SK IMMIGRATION & LAW
홈페이지 개인정보 처리방침

SK IMMIGRATION & LAW ('www.skimmigration.com'이하 'SK IMMIGRATION & LAW')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년 1월 1부터 적용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 SK IMMIGRATION & LAW >('www.skimmigration.com'이하 'SK IMMIGRATION & LAW')은(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 콘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마케팅 및 광고에의 활용
이벤트 및 광고성 정보 제공 및 참여기회 제공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① < SK IMMIGRATION & LAW >은(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와 관련한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1년>까지 위 이용목적을 위하여 보유.이용됩니다.
보유근거 :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
관련법령 :
1)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3)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예외사유 :

2.<마케팅 및 광고에의 활용>
<마케팅 및 광고에의 활용>와 관련한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1년>까지 위 이용목적을 위하여 보유.이용됩니다.
보유근거 :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
관련법령 :
1)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3)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1)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2)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3)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예외사유 :

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① < SK IMMIGRATION & LAW >은(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마케팅 및 광고에의 활용 >
필수항목 :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생년월일, 이름, 회사전화번호, 회사명, 결혼여부
선택항목 :

제4조(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① < SK IMMIGRATION & LAW > 은(는)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1. 법령 근거 : 「개인정보 보호법」 제21조제1항 본문). 「개인정보 보호법」 제75조제2항제4호
2. 보존하는 개인정보 항목 : 계좌정보, 거래날짜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절차
< SK IMMIGRATION & LAW > 은(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 SK IMMIGRATION & LAW > 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전자적 파일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합니다.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제5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① 정보주체는 SK IMMIGRATION & LAW에 대해 언제든지 개인정보 열람·정정·삭제·처리정지 요구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SK IMMIGRATION & LAW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1조제1항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SK IMMIGRATION & LAW은(는) 이에 대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이 경우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제2020-7호)”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④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4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습니다.

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⑥ SK IMMIGRATION & LAW은(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합니다.

제6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사항)

< SK IMMIGRATION & LAW >은(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하여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3.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SK IMMIGRATION & LAW')은 해킹이나 컴퓨터 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훼손을 막기 위하여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을 하며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하고 있습니다.

4. 개인정보의 암호화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되고 있어, 본인만이 알 수 있으며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 하거나 파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별도 보안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5.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을 최소 1년 이상 보관, 관리하고 있으며,다만, 5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하여 개인정보를 추가하거나, 고유식별정보 또는 민감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2년이상 보관,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접속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으며 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7. 문서보안을 위한 잠금장치 사용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 보조저장매체 등을 잠금장치가 있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8. 비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로 두고 이에 대해 출입통제 절차를 수립,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7조(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장치의 설치·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① SK IMMIGRATION & LAW 은(는) 이용자에게 개별적인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②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용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가. 쿠키의 사용 목적 : 이용자가 방문한 각 서비스와 웹 사이트들에 대한 방문 및 이용형태, 인기 검색어, 보안접속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됩니다.
나.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웹브라우저 상단의 도구>인터넷 옵션>개인정보 메뉴의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저장을 거부 할 수 있습니다.
다. 쿠키 저장을 거부할 경우 맞춤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관한 사항)

① SK IMMIGRATION & LAW 은(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허인령
직책 :대표
직급 :사장
연락처 :010-9158-2230, ih@skimmigration.com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마케팅
담당자 :장서영
연락처 :010-4508-9997, tina@skimmigration.com

② 정보주체께서는 SK IMMIGRATION & LAW 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SK IMMIGRATION & LAW 은(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제9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열람 청구를 아래의 부서에 할 수 있습니다.
< SK IMMIGRATION & LAW >은(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열람청구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처리 부서
부서명 : 마케팅
담당자 : 장서영
연락처 : 010-4508-9997, tina@skimmigration.com

제10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 (www.kopico.go.kr)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 (privacy.kisa.or.kr)
3.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개인정보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 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
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1조(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①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년 1월 1부터 적용됩니다.